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많은 청년들이 부모와 떨어져 자취하거나 기숙사 생활을 하며 주거비 부담을 느낀 경험이 있을 겁니다.

    부모님의 도움으로 지내고있긴하짐나 그마저도 젊은 청년들에게는 심리적인 부담이 큰 건 사실입니다. 

    이를 돕기 위해 정부에서는 ‘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’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 제도에 대해 쉽고 자세히 안내해드릴게요.

     

    1.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 제도란?

    ‘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’기초생활수급자 가구 중 19~34세 미혼 청년이 부모와 따로 거주할 경우, 청년에게 별도로 주거급여를 지급하는 제도입니다.

    기존에는 부모가구에만 주거급여가 지급되었지만, 이 제도를 통해 독립해서 거주하는 청년도 별도로 지원을 받을 수 있어 자취, 기숙사 등 주거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.

     

    2. 신청자격

    항목 내용
    연령 19세 ~ 34세 미혼 청년
    소득기준 중위소득 47% 이하 (2025년 기준 1인 가구 월 약 105만원)
    거주형태 부모와 주민등록상 주소가 다른 지역에 실거주 중인 청년
    가족 조건 부모가 주거급여 수급자일 것
    거주지 확인 실제 거주지에 전입신고가 되어 있어야 함

    ※ 주의: 주민등록상 주소만 분리된 경우가 아닌, 실제로도 거주지가 달라야 합니다.

     

      1.  가구원 수 월 기준 (소득인정액)

     

    3. 신청방법과 필요서류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🔹 신청처: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사이트
    🔹 신청자: 청년 본인 또는 부모 등 가구원

    📄 필요서류:

    • 분리거주 사실 증빙서류 (예: 임대차계약서, 기숙사 계약서)
    • 가족관계증명서
    • 통장사본
    • 임대료 납입 증빙자료 (이체내역 등)
    • 전입신고 완료된 주민등록등본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. 지급액 산정기준과 사례 

    청년의 거주 지역과 임차료 수준에 따라 가구 수 기준의 급지별 기준임대료를 참고하여 지급액이 산정됩니다.

     

    🔹 산정 기준

    • 기준임대료는 거주 지역의 ‘급지’에 따라 다름
    • 실제 임차료가 기준임대료보다 낮으면 그 금액만큼 지급
    • 보증부 월세는 보증금을 월세로 환산해 계산

    🔹 예시 (1인가구기준, 2025년도)

    구분 사례 지급액(예시)
    1급지(서울) 월세 50만원, 보증금 없 지원 상한액 352,000원으로 전액
    2급지(경기,인천) 월세 40만원, 보증금 없음 지원 상한액 281,000원으로 전액
    3급지(세종, 수도권 외 특례시) 월세 20만원, 보증금 없음 지원 상한액 228,000원으로 20만원

     

    ※ 보증금은 연4%를 적용하여 월차임으로 환산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5. 자주하는 질문 (FAQ)

     

    Q1. 청년이 전입신고만 해도 받을 수 있나요?
    → 아닙니다. 실제 분리거주가 확인되어야 하며, 임대차계약서 등 실거주 증빙이 필요합니다.

     

    Q2. 월세가 기준보다 높으면 다 받을 수 있나요?
    → 아닙니다. 기준임대료까지만 지급되며, 초과 금액은 본인이 부담합니다.

     

    Q3. 기숙사나 고시원도 해당되나요?
    → 네. 임대차계약서 또는 입실확인서 등 공식 서류가 있으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Q4. 부모가 주거급여 수급자가 아닌데도 신청 가능할까요?
    → 불가능합니다. 부모가 주거급여 수급자인 경우에만 청년 분리지급이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Q5. 분리지급 신청 후 언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있나요?

    → 신청 접수 후 행정절차를 거쳐 보장 여부가 결정되는데 대게 1~2개월 소요됩니다. 

         보장 결정일 기준으로 소급 적용되어 지원금이 지급될 수도 있습니다. 

    6. 바쁜 분들을 위한 요약

    구분 내용
    제도명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
    대상 19~34세 미혼 청년 (부모와 실제 분리거주)
    소득기준 기준 중위소득 47% 이하
    필요조건 부모가 주거급여 수급자, 실거주 증빙 가능
    신청장소 주민센터 (읍면동 행정복지센터)
    지급액 지역 급지별 기준임대료 기준 (최대 30만원대)
    필요서류 임대차계약서, 가족관계증명서, 통장사본, 납입내역 등


    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은 자취 청년에게 꼭 필요한 제도입니다. 놓치지 말고 꼭 신청해보세요!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반응형